본문 바로가기
PD 이야기/미리_PD수첩

SNS 광고에 관한 모든 것

by 미리또 2021. 3. 7.

와디즈 스폰서드 광고 

 

Q&A 정리

 

1. 현재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광고가 와디즈 유저에게만 뿌려지는 것인지 와디즈 유저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뿌려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ㄴ 기본적으로 와디즈에서 아드리엘을 통해 진행하는 페이스북 광고는 머신러닝에 따라 초반에는 전체 유저들에게 노출이 됩니다만, 

와디즈 픽셀이 심어져 있으며, 웹사이트 방문자를 리타겟팅 함으로써 와디즈를 주로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노출이 되는 구조입니다. 

 

2. 현재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광고가 와디즈 유저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뿌려지고 있다면 그 와디즈 유저, 와디즈 유저가 아닌 광고비율이 궁금합니다.

3. 현재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광고가 와디즈 유저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뿌려지고 있다면 와디즈유저, 와디즈 유저가 아닌 광고의 유입경로(펀딩현황에서 볼 수 있는 유입경로) 전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ㄴ 위 문의 사항은, 정확한 질문의 의도가 궁금합니다. 우선 문의주신 내용은 와디즈 마케팅팀으로부터 답변을 받기 위해 한번 더 문의해 보았으나 확인이 어려운 듯 하여 다른 유입율을 분석해드리려고 합니다. 

 

프랭클리 프로젝트로 유입되는 서포터 경로가 궁금하셔서 문의를 주셨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알림신청을 누른 서포터 수를 대상으로 이전에 펀딩 경험이 있었던 와디즈 유저들과, 펀딩 경험이 없던 신규 유저들의 수를 비교하였습니다. 

총 729명의 알림신청자 중 펀딩경험이 없는 서포터는 총 209명이었으며 그 외 서포터분들은 모두 펀딩을 한번 이상 경험한 분들이었습니다. 또한, 2021년 2월 2일 (오픈예정 게시 후) 이후 회원가입을 하신 분들은 알림신청자 분들 중 총 96명입니다. 참고하여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 현재 저희가 집행하고 있는 광고가 SNS에만 집중되고 있는건지 GDN 등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인지 궁금합니다.

ㄴ크리테오나 모비온 광고를 말씀 주신 것이라면, 와디즈의 자체적인 비용으로 광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랭클리가 집행하는 광고는 오직 SNS광고에만 집중됩니다. 

 

리마케팅에는 대표적으로 구글 GDN과 크레테오의 리타겟팅 그리고 리얼클릭의 리얼타겟팅이 있습니다.

 

*크리테오란? 리타겟팅 마케팅으로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와 관련 높은 광고를 선별하여 노출하는 광고방식 

크리테오는 구매의 가능성이 높은 유저가 관심 있어 하는 상품, 그리고 사이트를 둘러본 시간을 분석하여 구매 가능성이 높은 상품과

시간대를 자동으로 노출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구매의 가능성이 높은 유저에게 관심 있는 상품을 노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주 사이트 내 매출을 극대화하는 광고 플랫폼입니다.

어느 한 사이트에 접속함과 동시에 리타게팅 광고의 대상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텐데요. 태그를 통해서 유저들의 행동과 패턴, 그리고 구매 의도까지 모두 분석하여 광고로 노출을 시키는 시스템으로, 고객 취향과 구매패턴에 적합한 광고 노출 방식입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포털이나 소셜, 그리고 뉴스사이트 등에서 광고가 노출되고 웹페이지 외에도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접하는 확률이

높아 다양한 앱 제휴 매체와 앱 연동 파트너를 맺고 있어 더욱 다양한 곳에서 노출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 다이나믹 리타게팅 광고를 제공하고 있어 독보적인 상품 추천 엔진을 통해 활용이 가능하므로

그 효과는 더더욱이 높고, 클릭당 과금이 되는 CPC 방식의 시스템으로보다 광고비용이 합리적이며, 유저가 봤었던 상품과 유사한

제품들이 여러 가지 제휴된 사이트를 따라다니면서 다양한 유저층을 공략하여 확실한 브랜딩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애드피디와 알아보는 매출 상승의 길, 크리테오 맞춤형 광고|작성자 애드피디

 

*모비온이란? 

데이터를 활용한 광고플랫폼으로, 고객층의 소비패턴을 분석 후 그에 맞게 상품을 노출해서 광고효율을 극대화 보는 리타겟팅 광고입니다. 타겟팅 기법같은 경우에는 크게 4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 리타겟팅 

이탈한 98% 잠재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여 ROAS를 극대화 하는 기법입니다.

 

2) 유저 타겟팅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규 및 가망 고객의 방문을 유도하는 기법입니다. 

 

3) 딥링크 

광고 클릭 시, APP 내 특정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링크 입니다.

 

4) ADID

Google play 서비스에서 광고 용도로 제공하는 디바이스 식별 KEY를 활용하여 App타겟팅 광고 노출입니다. 

 

<노출형태>

크게 5가지 

 

5. 유입경로 기준으로 하단의 4가지 유입경로에 사용중인 이미지 소재와 텍스트를 알 고 싶습니다.

  • rw_instagram / conversion - > SNS인스타그램 광고
  • bm_event / cpc  -> 팝업으로 뜨는 이벤트로 추정.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움  
  • wadiz / (not set)  -> 와디즈로 들어온 유입 그러나 정확한 경로를 추적하기 어려움
  • rw_app / (not set) -> 앱에서 들어온 유입 그러나 정확한 경로를 추적하기 어려움  

1) rw_notice는 공지/이벤트 페이지 유입
ㄴ 보통 기획전
2) rw_lms는 유효타겟 서포터 폰으로 날아가는 메시지(문자)
ㄴ 앵콜 / 찜

 

ㄴ 아드리엘(페이스북/인스타그램) 광고는 경로별로 광고소재를 타겟하고 있지 않습니다.

 

상단에 적어드렸다 시피, 유료로 진행하시는 SNS광고 외, 와디즈에서 지원되는 무료 광고는 정확한 경로를 추적하기 어려울 뿐더러,
원하는 소재를 세팅하여 진행할 수 있는 광고 구좌가 아닙니다. 따라서 채널 경로 별로 소재가 따로 세팅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소재가 다양한 경로에 뿌려지는 형태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전에 여러차례 공유드린 광고 현황을 통해 확인 해보시면 SNS광고에 사용되는 소재에 대한 궁금증은 해소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말씀을 드리면, SNS광고는 이번 제품 소재(사진/GIF)에서 가장 적합한 소재를 "고심"하고 "선별"하여 

소재 및 문구를 세팅하여 이를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에 "노출하여 전환을 유도하는" 광고입니다. 

 

6. 하단 이미지 드린 "실시간 랭킹" , "펀딩 리스트뷰", "인기프로젝트" 3가지 영역의 순위가 매겨지는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몇 프로젝트를 한동안 모두 캡쳐했는데 머리로 이해할 수 없는 계산식이 적용되어 확인 한번 부탁드립니다. 6번 같은 경우는 매우 중요한 사항 이오니 꼭 잘 전달 주셨으면 합니다. 

 

1) 실시간 랭킹: 아래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듯이, 조회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내 프로젝트 참여자가 많은 순으로 노출됩니다. 

펀딩액과 커뮤니티 등 여러 지표가 함께 반영되기도 하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는 지표는 펀딩에 참여한 서포터 수입니다. 

 

2) 펀딩 리스트 뷰: 정확히 어떤 구좌를 말씀해주시는 건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단순히 본펀딩 리스트 구좌들을 말씀 주시는 것이라면 일전에 24시간 이내 펀딩한 프로젝트들은 

기본값으로 상위노출이 보장되며, 그 안에서 실시간으로 순위가 바뀌는 구조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오픈한지 24시간이 지난 프로젝트들은,  24시간 이내 오픈이 된 프로젝트들 하단에 노출이 되며 이 또한, 실시간으로 

순서가 변경됩니다. 

 

3) 인기프로젝트: 펀딩에 참여한 서포터 수들이 누적된 순으로 랭킹이 나타납니다. 

 

Q. 관심사 타겟팅 / 리타겟팅 각 타겟 캠페인의 광고비 책정 비율이랑
각 타겟별 데일리 전환결과 

 

->

빨간색으로 표시되어있는게 "리타겟팅" 광고세트 성과고
표시되어있지 않은 프로젝트가 "타겟팅" 광고세트 성과 

 

: 리타겟팅은 구매한고객의 재구매가 될수도 있고

우리 광고를 본 사람들에게 ( 구매의사가 있는 사람에게) 다시 광고를 노출시켜

광고비용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한가지 방법이 될수도 있습니다.

 

신규타겟팅은 아직 우리제품을 접하지 못한 소비자에게 목표를 두는걸 이야기 하겠네요.  

 

Q.

 

2. 광고에 대한 세팅을
[2년간 와디즈 구매자 (1회라도 한사람)]
으로 진행

*2번을 세팅할때 아마 대행사에서 어떻게 맞춤타겟을 만들어 두었는지 모르겠지만 2년이라기 보다는 최근구매자 100일, 최근구매자 300일 이런식으로 되있을 것으로 예상

 

-> 2년간 와디즈 펀딩한 서포터는 따로 타겟값은 설정하지 않고 (설정값이 따로 없는 상황입니다!) 있습니다.
별도로 저희는, 육개월이내 와디즈 방문한 서포터들의 쿠키(타겟)으로 광고 집행을 하고 있다고 말씀을 추가로 드리며, 광고 소재 전달주시면, 후킹될만한 문구 정도 피디단에서 고민하여 세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메이커: 페이스북 픽셀을 설정했기에 자동으로 수집을 해두고 있습니다. 맞춤 타겟만들기로 세팅하면 모수값까지 나와 해당 타겟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확인 한번 부탁드립니다!

 

답: 페이스북의 리타겟팅 가능 최대 기간은 180일 입니다.

와디즈 구매자 최근 180일로 세팅가능합니다.

 

 

- 구매 값

 

본펀딩에서의 purchase값은 저희 프로젝트로 펀딩된 서포터가 100% 반영된 것이 아니라, 
다른 프로젝트로 연결되어 펀딩된 값까지 포함된다고 해요! 

 

그래서 정확하게 sns광고를 통한 펀딩 값을 구하실려면 
메이커 스튜디오에서, 인스타나 페이스북 광고를 통해 펀딩하신 분들의 펀딩액 / 현재까지 사용한 광고비 

 

저희 프로젝트를 통해, 타 프로젝트로 펀딩이 되었다고 말씀드린 내용은 저희가 "조회기여가 높게 잡힌다"라고 말씀드리는 경우인데 이경우는 이렇게 해석이 가능합니다.

1) 페이스북 기여기간 7일 기준으로 성과를 측정하기때문에, 7일 이후 내 프로젝트에 펀딩할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카운팅한것

 

-> "페이지에 접근했던 유저 중, 7일이내에 성과에 기여할수있는 후보군을 페이스북이 측정하여 카운팅한다고 보시면됩니다!"


2) 프로젝트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다른펀딩으로 이탈

 

- 뷰 값 (스쳐 지나가듯이만 보여져도) 

 

뷰는 클릭값이 아님 

 

우선 아침에 보내드렸던 pixel view content의 경우 "인스타그램에서 내 프로젝트가 노출된 횟수"를 의미합니다! "노출"은 프로젝트 광고가 보여지는 수를 의미하며 , 클릭 이전단계의 과정이라고 보시면 될것같아요. (링크(광고) 클릭에 대한 그래프를 위에 첨부해드렸습니다. ) 

 

<아드리엘> 

먼저 아드리엘에선 신규 유저를 대상으로 하는 관심사 타겟팅과 와디즈 웹사이트를 방문했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리타겟팅 광고로 세팅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 광고의 성과 기준을 ROAS와 결과당 비용 위주로 보고 있기 때문에 해당 KPI에 맞춰 설명드리겠습니다. 성별은 여자에서 노출 및 광고 비용이 높았으나, ROAS 및 CPA는 남자 쪽이 다소 높았습니다. 연령은 25-34에서 비용 대비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습니다.

3번 문의에 대해선 타겟 별로 각 일자를 설명드리는 것보단 대시보드에서 PIXEL : purchase를 기준으로 잡으신 후 기간을 1~2일 별로 하여 결과를 그래프로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성과와 관련하여 질문이 있으실 경우 이 곳에 남겨주신다면 안내 도와드리겠습니다. 

 

Q. 1. 현재 광고 타겟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궁금

아드리엘에선 신규 유저를 대상으로 하는 관심사 타겟팅과 와디즈 웹사이트를 방문했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리타겟팅 광고로 세팅하고 있습니다.

 

 

-----

 

프랭클리

 2. 각 타겟별로 전체기간성과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각 타겟별로 21일,22일, 23일 개별 성과에 대한 문의 

 

답 : 현재 진행중 광고의 성과 기준을 ROAS와 결과당 비용 위주로 보고 있기 때문에 해당 KPI에 맞춰 설명드리겠습니다. 성별은 여자에서 노출 및 광고 비용이 높았으나, ROAS 및 CPA는 남자 쪽이 다소 높았습니다. 연령은 25-34에서 비용 대비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습니다.

3번 문의에 대해선 타겟 별로 각 일자를 설명드리는 것보단 대시보드에서 PIXEL : purchase를 기준으로 잡으신 후 기간을 1~2일 별로 하여 결과를 그래프로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성과와 관련하여 질문이 있으실 경우 이 곳에 남겨주신다면 안내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3월 1일까지 50만원으로 광고집행 신청하였습니다! 타겟은 최근 180일 이내 와디즈 구매자로 세팅해주시면 되며, 소재는 지금 전달드리는 소재 4가지로만 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 페이스북에서 집계되는 모수는 20만명으로 충분하게 잡히는 것 같습니다.

증액 및 일정은 확인되는대로 적용하겠으며,

타겟 수정 완료, 소재는 가격을 너무 강조한 소재 제외한 2개의 소재를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광고수 제한 이슈로도 전달주신 소재를 일부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

 

와디즈에서의 오픈예정 로아스와 본펀딩 로아스 효율 구분하기 

 

오예 기준에는 400% 만 넘어도 괜찮다 
본 펀딩 기준에는 1000% 정도! 

 

광고매출/총광고비 X100

 

ex) 광고비 51,000원당 3만원의 전환이 일어남 = 58% (최악의 상황)

 

---

 

초기에 예산을 많이 태우는 건, 예산을 많이 태우고 전환도 많이 발생한다는 전제 하에 그러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

 

전환 캠페인 기준으로 20건 이상의 cpa데이터가 신뢰할 만한 데이터라고 할 수 있으며

클릭 수는 100건 이상의 데이터면 신뢰할 만한 데이터. 

 

 

 

리마케팅 타겟은 펀딩여부 상관없이 60일이내 와디즈 방문자를 타겟팅
단, 리마케팅이라고 해서 반드시 효율이 좋지는 않을 수 있는 게 카테고리 관심사가 다를 수 있기 때문 : 즉, 푸드에 관심있어 와디즈를 자주 방문하는 사람에게는 테크가전 카테고리제품을 보여준다해도 큰 반응이 없을 수 있다.
그리고, 논타겟 타겟팅에도 결국 리마케팅 타겟팅 모수가 모두 포함됨. (사실, 리마케팅을 나누는 게 큰 의미가 있을까 싶지만 아드리엘 타겟 세팅 디폴트값으로 본다고 설명주셨음)


가설1. 최근 와디즈에서 펀딩이 활발히 진행되었던 제품군이라면 리마케팅보다 논타겟 세팅이 반응이 더 좋을 확률이 높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