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 이야기44 현실주의와 윤리중시 그리고 디지널 네이티브의 세대_Z세대 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398258 젠더 뉴트럴! ‘나다움’에 집중하는 패션·뷰티업계 - 싱글리스트 패션업계에서는 성(性)의 경계가 사라진지 오래다. 1990년대에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어울리는 ‘유니섹스’ 패션이 인기를 끌었으며 2010년대 이후로는 성별 구분 없는 ‘젠더리스’ 패션이 www.slist.kr 1. 지금 당장의 프로모션 중 성공적인 반응을 이끈 브랜드. 2.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브랜딩을 하는 브랜드 (그들이 2-30대가 됐을 때를 대비) ex. 시몬스 패션 브랜드들은 Z세대를 잡기 위해 유튜브를 공략했다. 디지털문화에 익숙한 1020대와의 소통창구를 만들기 위해서인데, 세사패, 배달의 프로들, 빽투더 의상실 등 다양한 컨셉으.. 2023. 2. 6. 글루텐분해 유산균ㅣ이제는 빵, 라면 마음껏 먹을 수 있어요. 최근 글루텐프리 화장품 관련된 글을 보고, "와 글루텐이 비단 먹는 것 뿐만이 아닌 화장품에도 적용된는 구나" 라는 생각을 했는데 요즈음엔 빵이나, 국수 등 밀가루를 통해 섭취한 글루텐을 분해할 수 있는 유산균이 있다고 해서 관심이 갔다. 세계알레르기협회에 따르면 많은 한국인들이 우유,달걀 다음으로 밀 알레르기가 제일 많다고한다.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166667 빵순이들 면덕후들 주목ㅣ맘껏 먹을 수 있다고? 신개념 유산균 글루텐 아웃 마법처럼 오늘 당신이 먹은 글루텐 OUT! 빵순이, 밀가루 러버들 모두 주목! 이제 식단 조절 강박에서 벗어나세요. 글루텐아웃-! 룰더핏 1알이면 충분합니다. www.wadiz.kr 최근 와디즈에서 오픈된 글루텐 아웃 '.. 2023. 2. 6. 너무나도 매력적인 뷰티 소도구 시장 '과연 기회의 시장일까요?' 뷰티 소도구 시장의 궁금증으로부터, 와디즈에서 주로 화장품 위주의 뷰티카테고리를 다루다보니, 뷰티 소도구 위주의 프로젝트 운영 갯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열개 중 하나, 가끔씩 제대로 만들어진 뷰티 소도구 프로젝트가 오픈이 되면 꽤나 높은 성과들이 나오다 보니, 와디즈 뷰티에서는 23년 뷰티 소도구 시장을, 꼭 잡고 가야 하는 시장으로 보았다. 그러나, 메이커 입장에서는 어떨까? 과연 지속가능한 시장이라고 볼 수 있을까?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뷰티 소도구는 재구매로 이어지지 않기에, 지속가능성이 떨어지는 시장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 가장 매력적으로 바라보고도 있는 이 뷰티 디바이스/소도구 시장이기에, 이 영역에서의 추후 방향성과 유통확장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새삼 궁금하다. 최근 내가 다루.. 2023. 1. 31. 최근 뷰티 업계의 변화들 정리 1) 뷰티 업계 호재 이슈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됨에 따라 외출과 대면활동이 본격화되며 색조 화장품 시장이 활기를 찾고 있다. 중소형 화장품 종목도 상승세가 두드려졌다.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방침이 공식화되며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예상 시기도 내년 1-3월 정도로 잡혔다. 중국이 방역 완화 조치를 내놓은 것도 호재로 작용된 뷰티 업계 호재 이유 중 하나이다. 3월까지 착용 의무가 조정된다면, 봄 색조 화장품을 시작으로 색조 시장이 활기를 띠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징주] 중국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화장품주 강세 (naver.com) [특징주] 중국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화장품주 강세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을 완화한 영향으로 코스메카코리아(241710) 등 화장품 관련주가 장 초반 강세.. 2022. 12. 9.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