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 이야기44 멈추면 뒤쳐지는 곳 _ 뷰티 디바이스 시장 점점 진화하고 발전하는 뷰티 디바이스 시장 뷰티 기기 시장은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LG경영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뷰티기기 시장은 2022년 1조 6,000억 원에 달하였으며 이는 2013년에 비해 약 20배 성장한 규모다. 그리고 이번에 다이슨에서 뷰티 신제품 개발에만 약 8,165억원을 투자했다는 기사를 봤다. 다이슨의 넥스트 뷰티 디바이스는 얼마나 혁신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으려고 이렇게 큰 개발비를 투자하는 것일지 의문스러웠다.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것일까. 물론 다이슨은 세계적인 기술력을 갖추었으며 독보적인 브랜드라는 점에서, 더 많은 투자와 개발 시간이 필요할 것이긴 하지만 말이다. 다이슨, 뷰티 신제품 개발에 8165억원 투자한다 (naver.com) 다이슨, 뷰티 신제품 개발에 8165.. 2022. 11. 5. 왜 마켓컬리는 럭셔리 뷰티 시장에 뛰어들었는가 왜 마켓컬리는 럭셔리 뷰티 시장에 뛰어들었는가 최근, 마켓컬리가 7년 만에 'MARKET Kurly'에서 'Kurly'로 이름을 바꿨다는 기사를 보았다. 현재 컬리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면 크게는 마켓컬리와 뷰티컬리 두 서비스로 나눠져 있으며 이 두 서비스를 통해 카테고리를 세분화해 전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타 카테고리를 강화하고 특히 뷰티 카테고리에서 핵심 플랫폼이 되기 위한 시도가 느껴진다. 그렇다면 왜 많고 많은 카테고리 중 하필 뷰티일까? 기사에 따르면 12조원 규모의 온라인 뷰티 시장에서, 실외 마스크 의무 해제로 인해 뷰티 제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온라인 플랫폼들이 충성 소비자 확보와 매출 증대를 목적으로 뷰티를 확장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뷰티 카테고리는, 아래와 같.. 2022. 11. 4. 뷰티 제품에서도 IP콜라보 제품이 먹힐까? SNS 인증 심리와 희소성이라는 가치는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마케팅에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희소성은 한정판, IP와도 연결 지을 수 있다. 최근 한정판 희소성을 강조하여 잘된 사례와 뷰티 IP에 관한 의견을 정리해보았다. 1. 곰표 편 와디즈에 최근 이런 제품이 올라왔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2.7억 정도를 달성하고 있다. 이렇게 잘될 일인가...? 처음에 이 펀딩 프로젝트를 보았을 때는 1) 새로운 제품이라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끌만하고 2) 접근성이 좋다고 판단하여 괜찮은 프로젝트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리워드 가격을 보니 개당 약 17,000원 꼴로 치킨 한 마리 값인 이 곰표 한 봉지를! 과연 많은 사람들이 펀딩 해줄까?라는 의문도 들었었다. 괜한 의문과 걱정이었던 .. 2022. 11. 2. 뷰티업계에서도 '위해 저감' 활동은 확대되어야 한다. "유통업계, 가치 소비 유행에 '위해 저감' 트렌드 확산" '위해 저감' 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이다.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다양한 소비를 하지만 앞으로는 가치소비에 더 집중되며 위해로운 제품에 대한 선택을 줄이려는 노력을 할 것이다. 덜 위해한 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가치 소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저감 트렌드는 확산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저감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는 만큼, 뷰티 업계에도 환경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들을 진행중이다. 재활용 플라스틱을 적용하거나 제품 단상자로는 FSC인증을 받은 친환경 지류를 사용한다. 그리고 병에는 디자인을 하는 대신 스티커를 붙이고 리사이클링을 위한 병, 플라스틱 등 공병 수거 활동을 하기도 하며 리필 판매를 통한 쓰레기를 최소화한다.. 2022. 10. 31.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